'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4 Page)
 
신청대상
 
신청하기
 
질문하기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6

현장용어 노바시 의 뜻 종합 건설업 건설현장에서 여러분야 종사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용어 중 하나는 '노바시' 라는 용어이다. 이 용어는 종합 건설업 건설현장 대부분 작업자들이 흔히 쓰는 용어로서 건설 클레임 정확한 명칭이 있음에도 왜 이렇게 사용하는지 정확히 알아보도록 하자. 현장용어 노바시 의 어원과 뜻? 현장용어 : 노바시 영문 쓰기 : nobasi 용어의 뜻 : 연장(늘리기) 한문 쓰기 : 伸 펼 신 한문 풀이 : ①펴다,팽팽하게 하다 ②연장하다 현장용어 노바시 의 풀이 종합 건설업 현장용어 '노바시'는 일본어로 '伸' 라고 적는다. 건설현장의 거의 모든 분야에서 작업시 어떤 부위를 늘리거나 혹은 연장할 때 일컫는 말이다. 특히, 비계나 철근 등 길이가 있는 자재를 사용하는 분야에서 연장하는 작업을 뜻한다. 노바시 쓰임 .. 2023. 4. 16.
현장용어 오사이 의 뜻 종합 건설업 건설현장에서 유리창호 종사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용어 중 하나는 '오사이' 라는 용어이다. 이 용어는 유리창호 작업자들이 유리 작업시 사전에 이 자재를 창호틀에 넣어놓거나 사용하여 유리를 고정한 다음 실리콘 작업하는 것으로 건설 클레임 정확한 명칭이 있음에도 왜 이렇게 사용하는지 정확히 알아보도록 하자. 현장용어 오사이 의 어원과 뜻? 현장용어 : 오사이 영문 쓰기 : osae 용어의 뜻 : 유리 고정재 한문 쓰기 : 押 누를 압 한문 풀이 : ①내리누르다,누르다 ②밀다 ③억압하다 현장용어 오사이 의 풀이 종합 건설업 현장용어 '오사이'는 일본어로 押 라고 적는다. 건설현장의 유리창호 작업시 유리를 고정하기 위해서 창호틀에 있는 유리틈에 이 자재를 넣고 유리를 이 자재로 고정시킨 다음 실리콘으.. 2023. 4. 16.
현장용어 육가 의 뜻 종합 건설업 건설현장에서 기계설비 종사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용어 중 하나는 '육가' 라는 용어이다. 이 용어는 기계설비 작업자들이 배관 작업시 사전에 이 자재를 사용하여 시공한 다음 본배관을 작업하는 것으로 건설 클레임 정확한 명칭이 있음에도 왜 이렇게 사용하는지 정확히 알아보도록 하자. 현장용어 육가,유가 의 어원과 뜻? 현장용어 : 육가,유가 영문 쓰기 : youka 용어의 뜻 : Floor Drain, 바닥 배수구 한문 쓰기 : 床 마루 상 한문 풀이 : ①바닥,마루 ②밥상,책상 현장용어 육가,유가 의 풀이 종합 건설업 현장용어 '육가,유가'는 일본어로 床 라고 적는다. 건설현장의 기계설비공사 작업시 콘크리트 타설 전 혹은 바닥몰탈 타설 배관을 시공하기 위해 사전에 설치되는 자재를 일컫는다. 우리말.. 2023. 4. 16.
현장용어 젠다이 의 뜻? 종합 건설업 건설현장에서 관련 종사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용어 중 하나는 '젠다이' 라는 용어이다. 이 용어는 석공 작업자들이 석재 작업시 많이 사용되는 용어로 건설 클레임 정확한 명칭이 있음에도 왜 이렇게 사용하는지 정확히 알아보도록 하자. 현장용어 젠다이 의 어원,뜻? 현장용어 : 젠다이 일본어 쓰기 : ぜんだい 영문 쓰기 : jentai 용어의 뜻 : ①창대,돌출창대 한문 쓰기 : 膳 반찬선 臺 돈대대 한문 풀이 : ①반찬,드리다 ②찬을 차리어 드리다 / ①대,돈대 ②물건을 올려놓는 곳 현장용어 젠다이 의 풀이 종합 건설업 현장용어 '젠다이'는 일본어로 膳 반찬선 臺 돈대대 라고 적는다. 건설현장의 석공사 작업시 창호 하부에 설치되는 창대를 일컫는다. 특히나 1~3층 저층부 석공사 작업시 창호하부 또.. 2023. 4. 10.
시멘트 부족 파동, 정부 해결방안 발표 시멘트 부족으로 국내 전 현장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공공사업 현장이 제일 큰 타격을 받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정부에서 직접 나서서 해결방안을 찾고 있으니 아래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삼표시멘트&한일시멘트&아세아시멘트&쌍용c&e, 부족, 레미탈 부족, 레미콘 영향 등) 시멘트 부족 파동, 정부 해결방안 정부가 시멘트·레미콘 수급난 해결에 나섰다. 업계와 논의해 시멘트 수출 시기를 조정하고 협의체를 구성해 재고 정보 등을 공유하는 등 정부가 전국 건설현장의 시멘트 부족 사태와 관련해 시멘트 설비 가동률을 최대한 유지하는 등 수급 안정화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수출 시기를 조정해 추가 물량을 확보하고, 시멘트의 원활한 공급을 위한 운송 확대 방안도 검토된다. (삼표시멘트&한일시멘트&.. 2023. 4. 7.
800억이하 중·소규모 건설현장 1300곳 대상 불시감독 실시 고용노동부는 최근 중규모 건설공사 사망사고가 늘어나고 있어 올해 2분기를 중·소규모 종합 건설업 건설현장 집중 감독·점검기간으로 정한다고 밝혔다. 이에 불시감독, 컨설팅, 교육을 집중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고 하니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800억이하 중·소규모 건설현장 1300곳 대상 불시감독 실시 작년대비 올해 건설업 사망자 현황 종합 건설업 사고사망자는 2021년 357명에서 지난해 341명으로 16명 감소하고, 올해 1분기에도 61명으로 12명 줄어듬. 총공사금액 50억~800억 원의 중규모 현장 중견·중소 종합 건설업 건설업체가 시공하는 현장에서는 사망사고가 전년 대비 50.0% 급증. 총공사금액 1억~50억 원의 소규모 현장에서는 소폭 감소하는데 그침. 2분기 불시감독 실시계획 핵심 사망사고 위.. 2023. 4. 4.
인천 검단신도시 LH현장 시멘트 파동으로 중단 위기 인천 검단신도시의 LH(한국토지주택공사) 아파트 건설 현장도 지난 20일부터 시멘트 공급이 안 돼 골조 공사가 지연됐다. 인천 검단신도시 LH현장 시멘트 파동으로 중단 위기 현, 운영중인 공공 건설현장 종류 LH가 시공하는 주택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학교 같은 관급 건설 현장 지방 중소형 주택건설 현장 등. 공공 건설현장이 중단·지연사유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해 전국 시멘트 공장 소성로의 30%가량이 친환경 설비 구축 작업에 들어가면서 시멘트 생산이 급감한 탓이다. 시멘트 품귀의 ‘주범’으로는 단연 무리한 탄소중립 정책이 꼽힌다. 정부 계획에 따르면 ‘탄소 다배출 업종’인 시멘트업계는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2018년 대비 12% 줄여야 한다. 2050년에는 53%까지 절반 넘게 감축해야 한다.. 2023. 4. 2.
입주자 사전방문 제도개선, 공사 중 아파트 사전 점검 근절 최근 세대 내부 공사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전방문을 실시해 지역 주택 조합 아파트 입주자가 하자 여부를 제대로 점검할 수 없었다는 민원이 다수 발생했다. 또한 사업주체 및 시공사는 건설자재 수급불안과 파업 등으로 공사가 지연됨에 따라, 입주예정일 45일 전으로 정해진 사전방문 기한을 맞추기 어려운 실정이다. 그래서 사전방문 제도개선을 발표했고 아래 자세히 알아보자. 입주자 사전방문 제도 란? 사전방문은 입주 예정자가 입주 전 신축 아파트(지역 주택 조합 아파트 등)의 하자를 미리 점검하는 제도이다. 입주예정자가 아파트 입주 시 신축 아파트 하자 여부를 미리 점검하고 보수를 요청해 양질의 주택을 공급받도록 하는 취지에서 도입. 🔽🔽🔽아파트 사전 점검 체크 리스트 다운받기🔽🔽🔽 개선사항 앞으로 새 아파.. 2023. 3. 30.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 상반기 건설사 부도 본격화 코로나19 이후 과열됐던 부동산 시장이 2022년부터 냉각되면서, 미분양이 늘어나고 있다. 미분양 증가로 부동산 PF 부실 문제가 현재 우리나라 금융시장의 문제로 급부상 중이다. 아래에서 더 자세히 내용을 알아보자. 부동산 PF발 부실 공포 확산 부실원인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론이 확산되면서 중소건설업계가 공포에 떨고 있다.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으로 국제 금융시장이 요동치면서 국내 미분양 물량이 급증과 제2금융권 증권사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연체 규모가 불어나면서 건설 위기설이 가중되는 형국이다. 전국 미분양 현황 2022년 1월말 기준으로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7만5,359호로 10년 2개월만에 최대치를 기록. 2023년 미분양 최대치가 16~17만호 예상. 주택도시보증.. 2023. 3. 29.
[속보] 시멘트 파동, LH현장 공사중지 본격화 시작 건설 클레임 종합 건설업 2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인천의 LH(한국토지주택공사) 공동주택 종합 건설업 건설현장 골조공사는 지난 20일부터 공정 진행이 사실상 중단 상태다. 시멘트로 인하여 레미콘 출하가 안되고 LH현장은 레미콘 타설 중지가 이어진지 몇일이 지난 상황이다. 목차 시멘트 웃돈 거래, LH현장은 공사중지 본격화 시작 수도권의 한 레미콘사 대표는 “지난주 처음으로 톤당 5000원을 더 주고 시멘트 웃돈 거래를 했다”며, “이달 초만 해도 톤당 1000∼2000원을 더 받더니, 지금은 웃돈이 시멘트 거래액의 5%까지 올랐다. 시멘트 수급대란이 본격화되며 건설현장으로 들어오는 레미콘이 지난주를 기점으로 반토막이 났다. 그나마도 공공 종합 건설업 건설현장은 레미콘 공급 후순위로 밀리며 공공현장 골조공.. 2023. 3.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