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용노동부는 최근 중규모 건설공사 사망사고가 늘어나고 있어 올해 2분기를 중·소규모 종합 건설업 건설현장 집중 감독·점검기간으로 정한다고 밝혔다. 이에 불시감독, 컨설팅, 교육을 집중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고 하니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800억이하 중·소규모 건설현장 1300곳 대상 불시감독 실시
작년대비 올해 건설업 사망자 현황
- 종합 건설업 사고사망자는 2021년 357명에서 지난해 341명으로 16명 감소하고, 올해 1분기에도 61명으로 12명 줄어듬.
- 총공사금액 50억~800억 원의 중규모 현장 중견·중소 종합 건설업 건설업체가 시공하는 현장에서는 사망사고가 전년 대비 50.0% 급증.
- 총공사금액 1억~50억 원의 소규모 현장에서는 소폭 감소하는데 그침.
2분기 불시감독 실시계획
- 핵심 사망사고 위험요인 안전수칙 위반사항에 대해서는 즉각적인 개선을 유도. (스마트 건설 안전)
- 컨설팅 및 교육 사업을 통해 건설사의 자발적인 안전관리를 지원.
- 중규모 건설공사(50억~800억 원)에 대해 올해 감독 목표 물량의 약 40%에 해당하는 1300곳을 대상으로 불시감독을 실시.
- 소규모 건설공사(1억~50억 원)에 대해서는 사망사고 발생, 평가등급 저조(C·D등급) 등 취약 건설재해예방전문지도기관의 현장에 대한 불시감독과 함께 해당 기관에 대한 점검도 병행.
- 4월부터는 안전보건관리체계 컨설팅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해 500여 개 중견·중소 건설사를 대상으로 근로감독관과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전문가가 합동으로 ‘자기규율 예방체계’를 지원.
- '안전교육의 날'을 활용해(매월 셋째 주 수요일) 중규모 건설공사 현장소장을 대상으로 핵심 위험요인 확인·개선 절차, 최근 사망사고 사례 등에 관한 교육도 실시한다. (건설 기술인 교육, 건설 기술인 온라인 교육 등)
자기규율 예방체계 란?
자기규율 예방체계는 노·사가 함께 스스로 위험요인을 진단하고 개선하는 안전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예방노력에 따라 결과에 책임을 지는 것을 말한다. 예방과 재발방지의 핵심수단인 위험성평가를 실시해 위험요인을 발굴하고 개선함으로써 일터 내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위험성평가가 자기규율 예방체계 정착에 필수요소이기 때문이다.
(스마트 건설 안전, 스마트 건설)
대형 건설사와 중·소규모 건설사의 체감차이
"최근 종합 건설업 대형 건설사는 위험성평가 도입 및 내실화 등을 통해 비교적 효과적으로 중대재해를 예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중견·중소 건설사 사망사고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해 11월에 발표한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에서 밝혔듯이, 기업의 자기규율(Self Regulation) 예방체계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유도하되, 중대재해를 야기하는 안전조치 위반에 대해서는 무관용 원칙을 적용하여 엄정히 조치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