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천 검단신도시의 LH(한국토지주택공사) 아파트 건설 현장도 지난 20일부터 시멘트 공급이 안 돼 골조 공사가 지연됐다.
인천 검단신도시 LH현장 시멘트 파동으로 중단 위기
현, 운영중인 공공 건설현장 종류
- LH가 시공하는 주택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 학교 같은 관급 건설 현장
- 지방 중소형 주택건설 현장 등.
공공 건설현장이 중단·지연사유
-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해 전국 시멘트 공장 소성로의 30%가량이 친환경 설비 구축 작업에 들어가면서 시멘트 생산이 급감한 탓이다. 시멘트 품귀의 ‘주범’으로는 단연 무리한 탄소중립 정책이 꼽힌다. 정부 계획에 따르면 ‘탄소 다배출 업종’인 시멘트업계는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2018년 대비 12% 줄여야 한다. 2050년에는 53%까지 절반 넘게 감축해야 한다.
- 4월 이 후 건설성수기에 접어들게 되면 자재가격 급등과 공사비 상승, 아파트 입주지연 및 사회기반시설 지연 등 최악의 사태로까지 확대될 우려가 있다.
- 지난해말 화물연대 운송거부 사태후 공사 이월물량이 있는 데다가 따뜻한 기온 탓에 겨울철 착공을 확대하는 현장이 늘어나 시멘트 수요가 증가했다.
- 콘크리트 강도기준 강화로 레미콘 생산시 들어가는 시멘트 사용량이 늘어나면서 시멘트 수요가 증가하고 레미콘 생산량은 줄면서 공급물량이 줄었다.
- 시멘트회사들이 대량·장기 거래를 하는 대형 레미콘사 위주로 물량을 배분하면서 관급 공사에 주로 참여하는 중소형 레미콘사가 뒷순위로 밀렸기 때문이다. 일부 레미콘사가 관급 공사보다 수익성 높은 민간 공사 현장에 우선 공급한 영향도 컸다.
건설현장 중단 현황
- 협회가 상위 100위권이내 중·대형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시멘트 수급불안으로 공사중단 및 지연된 현장이 절반이상(63.6%)에 달했다.
- 특히 관급자재로 공급되는 공공공사 경우 단가조정이 불가능해 42개 조사현장중 4개현장만 정상공급되고 있다.
실제 예시
실제로 서울소재 민간 A현장 경우 레미콘 7대물량(42㎥)을 주문했는데 2대물량(12㎥)을 공급해 줄 수 없다고 해 결국 전체공사를 못하고 중단했다.
'탈출구' 보이지 않는 위기
- 지방 관급공사부터 수도권 대형 공사장까지 시멘트 공급 대란이 확산할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당분간 시멘트 품귀는 해소되기 어려운 상황이다. 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수차례 시멘트·레미콘 업계와 간담회를 했지만 뾰족한 해법을 찾지 못했다. 레미콘업계는 시멘트 수입 지원을, 시멘트업계는 환경규제 완화를 요구했지만 모두 단기간에 실현되기 어려운 방안이다.
- 이 와중에 건설업계와 시멘트·레미콘 업계는 ‘네 탓’ 공방까지 벌이고 있다. 건설업계와 레미콘업계는 “시멘트업계가 가격 인상의 명분으로 삼기 위해 인위적으로 생산량을 조절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시멘트협회는 “수출 물량을 내수로 전환해 우선 공급하고 있다”고 일축했다. (건설 기술인 온라인 교육)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