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종합 건설업 건설현장에서 관련 종사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용어 중 하나는 '루베', '헤베' 라는 용어이다. 이 용어는 면적단위와 부피단위를 이야기하는 용어로서 건설 클레임 정확한 단위가 있음에도 왜 이렇게 사용하는지 정확히 알아보도록 하자.
'루베, 헤베' 의 자세한 풀이
- 현장용어 : 루베 / 헤베
- 일본어 쓰기 : 立米(りゅうべい) / 平米(へいべい)
- 영문 쓰기 : ryubei / heibei
- 용어의 뜻 : ①입방미터 (m3) / ①평방미터 (m2)
- 한문 쓰기 : 立 설 립 / 平 평평할 평
- 한문 풀이 : ①서다, ②정해지다 / ①평평하다, ②평탄하다
'루베, 헤베' 의 설명
종합 건설업 현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일본어 '루베,헤베'는 일본어로 '立米(りゅうべい)', '平米(へいべい)'라고 각각 적는다.
루베는 부피단위 인 입방미터(m3)를, 헤베는 면적단위 인 평방미터(m2)를 말하고 일본어 '루베' 立米(りゅうべい)는 '立方メ―トル'의 압축된 말이다. 영어의 길이단위 용어 인 meter를 일본어(가타카나)로 읽히는 데로 표기한 것이 'メ―トル'입니다. 일본어 米(쌀 미)는 바로 メ―トル의 취음이다. 한자어 立(설 립)자에 미터의 취음인 米(쌀 미)를 써서 입방미터를 나타내고 平(평평할 평)자에 米(쌀 미)를 써서 평방미터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헤베' 平米(へいべい)는 '平方メ―トル'의 압축된 말이다.
'루베, 헤베' 의 우리말 풀이
현재는 잘쓰지 않는 일본어 단위용어에는 영어의 무게단위인 ton에 해당하는 ’돈’이라는 단어도 있습니다. 일본어로 噸(トン)이라 적는데, 한자어로도 噸(톤)에 해당하는 용어가 있다.
종합 건설업 현장에서 "여기가 몇 헤베냐?" 혹은 "여기 공그리 몇 루베 들어가냐?" 라고 이야기하는 것 보다는 입방미터, 평방미터의 올바른 용어를 사용해야 하겠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
댓글